본문 바로가기

귀질환

이석증, 침대에 눕거나 일어나면 생기는 어지럼증

Q. 일어서 있거나 활동할 때는 괜찮은데, 침대에 눕거나 일어나기만 하면 빙글 도는 어지럼이 있어요. 왜 그런가요?

 어지럼증이 보통때는 괜찮다가 침대나 잠자리에서 눕거나 일어날 때, 또는 누워서 좌우로 돌아 눕는 경우에 빙글 도는 어지럼이 생기는 경우에는 특징적으로 이석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석증은 속귀의 난형낭이라는 전정기관 안에 있는 이석들이 제자리에서 이탈하여 난형낭과 연결되어 있는 반고리관으로 들어가서 반고리

 안에서 돌아다니거나(관내이석) 반고리관의 팽대부릉정에 붙어서(팽대부릉정이석) 환자가 머리를 움직이는 상황에서 환자가 균형을 잃거나 어지럼증을 느끼게 하는 질환으로, 모든 어지럼증 원인질환 가운데 가장 흔한 질환입니다.

 

 

이석증이 발생한 환자는 특징적으로 머리를 움직이는 상황에서 어지럼증이 유발되며, 대표적인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침대나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또는 누울때
  • 침대나 잠자리에 누워서 좌우로 돌아눕거나 고개를 좌우로 돌릴 때
  • 고개를 들어 올리는 경우(높은 선반 위의 물건을 집는 경우 등)
  • 고개를 숙이는 경우(세수하기, 바닥의 물건 집기 )

 

Q. 이석증은 어떻게 진단할 수 있나요?

 환자에게 프렌젤 안경을 씌운 상태에서 이석이 들어간 반고리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특징적인 유발 자세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사람에서 이석이 들어갈 있는 반고리관은 뒤쪽의 후반고리관, 앞쪽의 전반고리관, 옆쪽의 측반고리관이 양측 귀에 3개씩 존재합니다. 이러한 반고리관에 이석이 들어간 경우를 확인하기 위한 특징적인 유발자세검사들을 시행할 , 환자는 어지럼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검사자는 이때 프렌젤 안경을 통해 관찰되는 환자의 눈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이석의 위치를 진단하게 됩니다.

 

 

딕스-홀파이크(Dix-Hallpike) 수기.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후반고리관 이석증의 진단법으로 머리의 움직임에 의해 어지럼증과 특징적인 안구의 움직임이 관찰되면 이석증의 진단이 가능합니다. 이석이 이석기관에서 떨어져 나와 자세의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중력변화에 따라 귀 안의 내림프공간에서 움직이게되며, 특징적인 안구의 움직임을 유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환자는 어지럽더라도 눈을 크게 뜨고 있어 검사자가 안구의 움직임을 잘 관찰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합니다.

 

 

Q. 이석증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이석증의 치료 원칙은 약물 치료가 아닌 이석 정복술을 통해 이탈한 이석을 위치로 돌려놓는 방법입니다. 이석 정복술은 앞에서 설명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이석의 이치를 확인하여 이석의 위치에 따라 그에 맞는 이석 정복술을 적용하여야 좋은 치료 결과를 얻을 있습니다.

 

 

에플리(Epley) 수기.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후반고리관 이석증의 치료법으로 떨어져나온 이석을 다시 제자리인 난형낭으로 옮겨서 어지럼증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는 치료법으로 일반적으로 2~3회 이내에 증상의 호전을 얻을 수 있습니다.

 

 

Q. 이석증은 재발이 잘된다고 하는데 예방법은 없나요?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어지럼증 원인 질환인 이석증은 치료율이 굉장히 높은 장점이 있는 반해, 재발이 종종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여러 연구자들의 결과에 따르면, 이석증을 처음 진단받고 치료된 1년사이에 7~20% 정도의 환자가 재발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잦은 재발이 발생할 경우 다른 원인에 의해 이석증이 발생하는지 정말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재발할 경우에도 치료율이 매우 높아서 재발했을 빠른 시간 안에 어지럼 전문의에게 방문하시면 됩니다.

 

 

SLMED VNG

보아스이비인후과 먹골의원에서는 2019년 3월부터 어지러움증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인 비디오 안진검사기(SLMED VNG with caloric test) 를 도입하여 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비디오 안진검사란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진(안구운동)을 디지털 방식으로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중추 병변의 어지러움과 말초 병변의 어지러움을 구분하고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병변이 좌측인지 우측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어지럼증의 원인이 대뇌나 소뇌, 뇌간 등의 중추신경계에 있는지, 말초신경계인 내이, 전정신경 이상에 의한 것인지 결과를 보고 알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치료가 가능하게 됩니다.

'귀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지러움은 왜 일어나는 걸까요?  (0) 2020.07.23
이명환자를 위한 생활수칙  (0) 2015.06.26